본문바로가기

한하운 문학관 로고

한하운 문학관 서브메뉴

연구논문

Research paper

연구논문

  1. home
  2. 연구논문
  3. 연구논문
  • 페이스북
  • 트위터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프린트

한하운 시 연구

  • 발행년도
    2001년
  • 발행처
    중앙대학교
  • 저자
    현은숙
  •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 학위논문사항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문학이론 2001
  • 링크
    http://www.riss.kr/link?id=T8554016
  • 첨부파일
초록 (Abstract)

한하운은 1949년 서울신문에서 발행하는『新天地』4월호에「全羅道길」「罰」「목숨」등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하였고, 그해 5월 첫 시집인『韓何雲詩抄』를 정음사에서 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하운의 시가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며 지금까지 꾸준히 읽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문학사 연구에서는 크게 소외되어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하운에게 언제나 따라다니는 ‘나병 시인’이라는 수식어는 그에게 영예와 반감을 동시에 안겨주었다. 그의 삶이 매우 독특했던 만큼 주목을 받았지만 그 시선에는 연민과 저항감이 함께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시는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만한 여지가 없었다. 나병에서 오는 체험이 일차적으로 한하운 시의 독자적 세계를 이루는 요인인 것은 분명하나 그의 시가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보편성과 개별성을 가졌다는 것을 입증한다. 그의 시는 단순히 개인적차원의 독백에 그치지 않고 1950년대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실존의 토대가 무너진 많은 사람들의 고통과 상통하는 보편성을 담지하고 있다. 전쟁은 많은 사람들에게 좌절과 절망.허탈감.허무감 등을 심어주었다. 이것은 그의 시에도 표백되어 나타나며 공감을 형성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하운이 문단과 동떨어진 위치에 있었다고 하더라도 당시 시단의 영향 아래있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1950년대 시단은 편의상 크게 전통 서정시의 경향과 탈전통주의적 경향을 지닌 모더니즘 계열의 시로 나눌 수 있을 때 그는 전자의 경우에 속한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시적 대상인 ‘꽃’이나 ‘길’은 전통 시가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라는 점, 전통적인 율격을 계승하는 한편 다양하게 변용하고 있는 점, 전통 시가에 나타나는 색채 이미지도 활용되고 있는 점 등이 그예이다.
한하운의 시 세계는 시적 전개에 따라 변모하는 양상을 보인다. 1944년에 나온 첫 시집『한하운 시초』와 1953년에 나온 재판『한하운 시초』에 새롭게 추가된 7편의 시들(이것은 1956년에 나온『한하운 시 전집』에 한하운 시초를 중심으로 실린 제1부에 수록되어 있다), 1955년에 두 번째 시집인『보리피리』를 함께 묶어 전기로 삼고, 그 이후 즉 1956년 이후에 씌어진 시들을 함께 묶어 후기로 보았을 때 뚜렷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첫 시집인『한하운 시초』와두 번째 시집인『보리피리』는 6년이라는 시간차에도 불구하고 소외의식과 자기부정의 측면에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서서히 현실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 이루어지면서 후기로 변모해가는 계기를 마련한다. 전기의 특성을 소외의식과 자기 부정, 자기 초월과 죽음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후기의 특성을 현실긍정과 생명의지의 구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하운은 신체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던 만큼 그에게는 신체가 반성적대상이 되었다. 그러한 성찰을 통해 생명에 대한 자각을 새롭게 획득하였고 삶을 보다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던 것이다. 자아를 지각하거나 세계를 이해하는 장소로 신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지각 및 표현 매체로서의 신체 문제를 한하운 시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본고에서 試論的입장으로 다룬 지각과 표현 매체로서의 신체의 문제는 한하운 시를 보다 새롭게 인식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보다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현대 사회 속에서는 정치, 경제, 문화 및 사회 관계와 가족 관계에 광범하게소외 현상이 퍼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인간 관계에서나 사회관계에서 깊은 정서적 유대와 감정의 교류를 경험할 수 없고 소외ㆍ단절ㆍ허탈ㆍ증오ㆍ상실감ㆍ불안감ㆍ절망감ㆍ비인간화ㆍ냉담ㆍ고독감ㆍ무력감ㆍ무의미감ㆍ아노미ㆍ고립감ㆍ비관 등을 체험하게 된다. 한하운의 소외의식을 현대 산업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소외 개념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소외의 한 측면으로는 볼 수 있고,(한하운의 소외의식은 마르크스 소외론의 잣대로는 설명하기 어렵지만 심리학적인 혹은 철학적인 측면에서는 가능할 것이다)그만큼 그의 시는 지금의 우리에게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초록 (Abstract)

Ha-Woon Han was honored because he became a poet in spite of his physical defect, Hansen.s disease. At the same time, he provoked antipathy in that reason. He attracted public gaze as much as his unique life but the gaze was on the basis of pity and protest. Therefore the criticism about his poems has not been fair. This dissertation tried to search the individuality and objectively.
In Han.s poems, there is a severe conflict, which demands a fundamental awakening about life. For some time, Han sufferd from feeling of resentment and protest because he felt that he was alienated from both others and himself. However, he started to observe life positively after he gradually accepted his situation. The limit of Han.s poems is that the form of poems remained only as exclamation although the resentment and protest should be stylized through imagination. Nevertheless, his poems give us opportunity to introspect ourselves and to define the difficulty of life. If the nature of literature is to ask origin of existence, it can be said that Han.s poems has reached the nature.
The world of Han.s poems seemed to undergo a change. Han.s works ar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de of change,『Han, Ha-Woon Sicho』,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published in 1949, and the reprint『Han, Ha-Woon Sicho』, here are included 7 poems newly written,『Boripiri』, the second collection of poems published in 1955, will be analyzed as the work of the former term. The two collections are grouped to former term works because they do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te of the 6 years gap in view of feeling of alienation and self-denial.
In『Boripiri』, Han began to realize reality with new perspective and it made a foundation of the latter works. The unpublished poems and the poems published in literary magazines will be included as the works of the latter term. Most of the latter works were written after 1956. During this time, Han devoted to social works for the patients suffered from Hansen.s disease. This is one of the reason why no more poems were published after the second collection. Though Han retreated from writing work, this period is considerd as the latter term. This is because not a few poems of his were still written and mode of the works was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is period. In detail of the significant change, it can be said that the feeling of alienation, self-denial, self-transendence and death are found in the former works and the reality in the affirmative viewpoint and the realization of for life are found in the latter works.
The forms of poems are strongly tied with the thematic spirit in many case. To induce the general structure of his poems, "path" and "flower" as poetic obejects and color of mind inheriting the traditional rules of versification and slight rule change of versification(but still accepted as traditional) and paradoxical principle in his poems are to be argued.
"Flower" and "path" as poetic objects shown on his poems are frequently found as writing material in traditinal poems. His poems follow the traditional rule, but also employ the variation of the rule. In addition, color of mind(the feature of the traditional poems)is often used in his works.
It is commen that paradoxical principle is pointed out as the feature of modern poems. Our attention is drawn that his poems advance to accept the reality and to realize the will for life through negatively paradoxical structure. However, it is his limit that the paradoxical structure did not embrace the width of meaning variety and was not developed to build up deeper structure.
For Ha-Woon Han, body was an object to introspect because he had a physical handicap. Through the introspection, Han could gain a renewed understanding about life and observe life with more affirmative viewpoint.
In other words, body is an important media to understand the self and the world, and to represent himself in Han.s poems. Understanding body as representing media could be a new start to recognize Han.s works with new perspective. As a result, more deep studies should be followed.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everyone could experience alienation. It means that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could be found in every parts of human life such as politics, economics, cultures, and human relations.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exchange emotinal friendship and to share othe r.s emotion in such modern society. Therefore, people come to experience alienation, lack of communication, prostration, detestation, loss, anxiety, despair, indifference, isolation, incompetence and even anomi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alienation consciousness of Ha-Woon Ha with the general alienation in modern socie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Ha n.s alienation is one aspect of alienation and give us an important suggestion.(It is difficult to explain Han.s alienation on the basis of alienation of Karl Marx. However, psychological and philosphical try could be possible.)

수정 삭제 목록

관련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