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하운 문학관 로고

한하운 문학관 서브메뉴

연구논문

Research paper

연구논문

  1. home
  2. 연구논문
  3. 연구논문
  • 페이스북
  • 트위터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프린트

한하운의 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변모 양상

  • 발행년도
    2015년
  • 발행처
    서강대학교
  • 저자
    김슬지
  • 소장기관
    서강대학교 도서관
  • 학위논문사항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2015. 8
  • 링크
    http://www.riss.kr/link?id=T13840895
  • 첨부파일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하운의 시세계의 변모 양상을 ‘자아 발달 이론’을 근거로 하여 분석함으로써, 한하운의 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변모 양상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하운의 시세계의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한하운의 시와 학생들의 자아 발달을 연계하여 한하운의 시가 교과서의 제재로서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길 바란다.
Ⅱ장에서는 한하운의 초기 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초기 시에 나타난 한하운의 시세계 양상을 세분화하면 첫 번째, 나와 벌(罰), 고오ㆍ스톱, 목숨 등과 같이 인간폐업을 당한 ‘문둥이’의 슬픔과 절망을 노래한 시이다. 두 번째, 자화상과 손가락 한 마디, 하운(何雲) 등과 같이 한센병 투병으로 인한 신체의 훼손을 노래한 시이다. 세 번째, 전라도 길과 어머니, 고향(故鄕) 등과 같이 단절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시이다. 이러한 초기 시에 나타난 시세계의 양상을 ‘자아 발달 이론’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면, ‘계속성 붕괴에 따른 자아정체감 붕괴’와 ‘물질적 자아의 훼손에 의한 자아존중감 상실’, ‘체계 밖으로의 추방에 따른 단절된 상호작용’이다. 한센병 확정 진단으로 인해 한하운은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서게 된다. 한하운이 허물어져 가는 병든 육체의 무너짐과 붕괴감 속에서도 시 쓰기를 통하여 자기 존재의 연속성과 자아의 통일성을 생성하고자 처절하게 노력하고 있음을 초기 시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하운의 중기 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기 시에는 초기 시와 다른 양상의 시들이 등장한다. 첫 번째, 청지유정과 국토편력, 답화귀, 해변에서 부르는 파도의 노래 등과 같이 자연애를 노래한 시이다. 두 번째, 관음보살상과 은진미륵불 같이 불교적 색체를 나타내는 시이다. 세 번째, 비창과 나혼유한, 나는 문둥이가 아니올시다 등과 같이 한센인에 대한 한하운의 의식 변화를 보여주는 시이다. 이러한 중기 시에 나타난 시세계의 변모 양상을 ‘자아 발달 이론’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면, ‘개별성 인정에 따른 자아정체감 유예’와 ‘심리적ㆍ영적 자아를 통한 자아존중감 회복’, ‘자연 물리ㆍ생물학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이다. 한센병 투병 중에서도 한하운의 자아가 발달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시를 통해, ‘나’와 ‘나’의 감정, ‘나’의 환경 등을 솔직하게 시로 표현하였기 때문이다. 한하운에게 있어 시는 빛이고, 삶 그 자체였다.
Ⅳ장에서는 한하운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후기 시에는 중기 시와 다른 양상의 시들이 대거 등장한다. 첫 번째, 세월이여와 오마도, 1964년 우리 생의 전쟁을 하자, 새 빛 등과 같이 새로운 터전에서의 한센인의 삶을 노래한 시이다. 두 번째, 자유당과 명동거리 3, 양갈보 등과 같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직설적인 현실 비판과 사회적 약자를 옹호하는 시이다. 세 번째, 도처춘풍과 곡(哭) 육 여사(陸 女史)님 영전에, 거목은 거목 등과 같이 체계 안에서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시이다. 이러한 후기 시에 나타난 시세계의 변모 양상을 ‘자아 발달 이론’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면, ‘총체성 경험에 의한 자아정체감 성취’와 ‘사회적 자아를 통한 자아존중감 상승’, ‘체계 안에서의 상호작용’이다. 한하운은 한센병 음성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둥이’로 낙인찍힌 삶을 살았다. ‘문둥이’라는 낙인 속에서도 국민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약자를 옹호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한하운이 시 쓰기를 통해 자아 발달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한하운의 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변모 양상’은 한센병 확정 진단과 한센병 투병과 한센병 음성 판정이라는 상황 속에서도 발달하는 한하운의 모습을 통하여 문학의 가치를 이야기하고 있다. 한하운을 한센병 시인으로만 한정적으로 보는 것이 아닌 한하운의 시와 그의 삶을 통해 문학의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초록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ing mode of self-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Ha-Un Han’s poetry by analyzing them on the basis of the ‘Ego development theory‘. Through this study, I look forward to active research about the changing mode of the Ha-Un Han’s poetry. Furthermore, the next research would be about how the poem of Han, as the textbook material, could affect the ego development of students.
In the second chapter, it is examined of self-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early days of Han’s poems. His early poetry mode could be subdivided into three. Firstly, Han’s poems are songs of sorrow and grief of a leper who is rejected to be a human being, such as ‘I’, ‘Punishment’, ‘Go. Stop’, ‘Life’, and so on. Secondly, they sing a song about the body which is mutilated during a lengthy of battle with a leprosy, such as ‘Self-portrait’, ‘Knuckle’, ‘Clouds’, and etc. Thirdly, they show the disconnection of ‘reciprocality’, such as ‘Way of Jeolla-do’, ‘Mother’, ‘Hometown’, and so on. When Han’s early poetry mod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ego development theory’, we can see ‘the breakdown of ego-identity followed by the collapse of continuity’, ‘the loss of self-worth caused by the mutilation of the body’, and ‘the disconnection of reciprocality by kicking out of a system.’ By confirming diagnosis of a leprosy, Han stands on the line of life and death. We found that Han’s early poems reveal his zeal to form being-continuity and self-unity through writing a poem in spite of his illness and frustration.
In the third chapter, it is revealed of self-consciousness of changing mode in the middle of Han’s poems. His middle poetry shows different modes with his early poetry. Firstly, Han’s poems are songs about the friendship of nature, such as ‘A green lawn in a kind heart(靑芝有情)’, ‘Travel around country(國土遍歷)’, ‘Trample on the flowers and go back(踏花歸)’, ‘a song of wave in the beach’, and so on. Secondly, they sing a song about Buddhistic color, such 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Eunjin Maitreya statue’, and etc. Thirdly, they reveal the changing of Han’s consciousness about a leprosy, such as ‘Pathethique’, ‘There is a limit to the marriage of a leper(癩婚有恨)’, ‘I am not a leper’, and so on. When Han’s middle poetry mod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ego development theory’, we can see ‘the suspension of self-identity followed by confirming individuality’, ‘the recovery of self-dignity through the mental and spiritual ego’, and ‘the reciprocality with nature and biological context.’ The reason that Han’s ego could be developed despite his illness is that Han revealed his identity, feelings, and context honestly through his poems. To Han, poems are light and life itself.
In the fourth chapter, it is examined of the self-consciousness of changing mode in Han’s latter poetry. His latter poetry shows quite different modes with his middle poetry. Firstly, Han’s poems sing a song about a life of a leper in the new site of living, such as ‘Years’, ‘Ohmado(五馬島)’, ‘Let’s fight our war of life in 1964’, ‘New light’, and so on. Secondly, they criticize the present as a social member and support the second-class citizen, such as ‘The Liberals’, ‘the street of Myeongdong 3’, ‘Prostitutes patronized by foreigners(洋蝎甫)’, and etc. Thirdly, they show the reciprocality in a system, such as ‘Wherever the spring wind blows(到處春風)’, ‘cry in Mrs. Yuk’s funeral’, ‘Tall tree’, and etc. When Han’s latter poetry mod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ego development theory’, we can see ‘the achievement of self-identity by experienced the totality’, ‘the ascending of self-dignity through the social self’, and ‘the reciprocality in a system.’ Although the result of Han’s leprosy reaction came out negative, he had lived with a stigma of leper. In spite of a stigma of leper, the reason Han could support the second-class citizen as a social member is that Han had developed his ego through his writing a poem.
Han’s self-consciousness of changing mode revealed in his poetry tells us the humanistic value of litera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Han’s ego despite confirming diagnosis of a leprosy, struggling against a leprosy, and receiving the negative result of a leprosy reaction. I hope that there would be many next studies which can show the humanistic value of literature through not only seeing Ha Un Han as a leprous poet, but also combining Han’s poetry and life.

수정 삭제 목록

관련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