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하운 문학관 로고

불행을 똑바로 보고 참을성 있는 인내심으로 꾸준히 일란하는 굳은 의지의 투쟁의 전진으로서 불행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고고한 생명-나의 슬픈 반생기 후기中)

연보

  1. home
  2. 한하운 생애
  3. 연보
  • 페이스북
  • 트위터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프린트

1940년

  • 이리농림학교 졸업

하운이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

  • 나는 나의 이름과 나의 이름이 소유하던 영혼과 육체가 지옥으로 갔으리라고 생각할 때 목이 메어 울음보다도 늦은 봄 계절에 우는 꿩같이 목이 찢어지는 것이었다.
    나는 어머니보고 이제는 본 이름을 아예 부르지 말라고 하였다. 그리고 하운(何雲)이라고 불러달라고 하였다. <고고한 생명 – 나의 슬픈 반생기 中>

1946년

  • 함흥반공학생의거 발생현장에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가 석방

1948년

  • 월남

1949년

  • 신천지 4월호에 「전라도 길」을 포함한 13편의 시를 발표
신천지 표지

첫 시집 「한하운 시초」를 간행

한하운 시초 초판본

경기도 수원시 세류동 하천 부락에 입주

수원 세류천변 시비

수원시 세류동에 위치한 한하운 시비

정부로부터 서울과 경기도, 강원도 일대에 거주하고 있는 한센인을 부평으로 모으는 일에 대한 교섭을 받고 12월 30일 70여명의 한센인과 부평에 입주

  • 우선 부평은 이 지방민의 반대가 없을 것이라 믿고 불모의 산협이지만 우리가 무슨 선택의 자유가 있을까…… 우리들의 마지막 안식처로서 택하기로 하였다.
    나는 그들을 설득시키고 수원시의 알선으로 서력 1949년 12월 30일 밤 8시에 70명 환자를 인솔하고 부평으로 갔다.
    나는 기뻤다. 그렇게도 원하였던 땅을 얻게 된 까닭으로…… <황토길 中>

1950년

  • 나환자 요양소 「성계원」을 설립하고 자치위원장으로 선임
  • 나는 600명 환자의 선거에 의하여 이곳 자치위원장에 취임하고 원명을 성계원이라 명명하였다. 도리지하 자성계(桃李之下 自成蹊) 이라는 뜻에서 성계란 이름을 얻었다. <황토길 中>

1952년

  • 신명보육원 창설

1953년

  • 한하운 필화사건 발생
    시 「보리피리」 발표
동아일보 1953년 11월 25일 기사 조선일보 1953년 11월 23일 기사

1955년

  • 제 2시집 「보리피리」 간행
보리피리 시집

1958년

  • 「고고한 생명-나의 슬픈 반생기」 간행
고고한 생명 - 나의 슬픈 반생기 이미지

1959년

  • 한센병 완치 판정

관련기관